전체 글 61

가전제품 교체하는데 돈을 준다고? 의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 안내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은 에너지를 절약하는 최고 효율 가전제품을 구매한 사람에게 구매 금액의 10%를 환급해 주는 정부 지원 제도입니다. 환급은 2025년 7월 4일 이후 제품 구매분부터 적용되며, 최대 30만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아이도 알기 쉽게, 쉽고 자세하게 이 사업의 의미, 대상, 신청 방법과 환급받는 절차 및 관련 서류 준비와 오류 시 대처 방법까지 정리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 1.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이란? • 에너지 효율이 아주 좋은 가전제품을 사면 돈을 조금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전기·자원 소비를 아끼는 좋은 제품을 많이 사용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했습니다. • 환급률은 구매 금액의 10%이며 상한은 30만 원입니다. • ..

일상 2025.08.18

주민세는 뭐? 왜?

주민세는 지방자치단체(예: 시, 군, 구)에서 거주하거나 사업장을 운영하는 주민과 사업자가 내는 지방세입니다. 크게 개인분, 사업소분, 종업원분으로 나누어 부과되며, 납부 기준과 방법이 각기 다릅니다. 1. 주민세란? 주민세는 지방자치단체가 주민으로부터 걷는 세금으로, 주민의 회비 같은 성격을 가집니다. 이 세금은 지방행정의 재원으로 사용되어 지역 복지, 공공서비스 등에 쓰입니다. 납세 대상자는 주민(세대주), 사업장을 가진 개인 또는 법인, 그리고 종업원에게 급여를 주는 사업주입니다. 2. 주민세 종류 및 납부 대상종류설명납세의무자납세지(과세지)개인분 주민세개인에게 일정 금액이 부과됨 (보통 1만원 내외)주민등록 기준 ‘세대주’(성년 미혼 30세 이하 미적용)주민등록 주소지사업소분 주민세사업장을 둔 개..

일상 2025.08.18

경복궁 야간 개장 '생과방' 예약 해보셨어요?

경복궁 생과방 예약과 이용 방법을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더불어 경복궁 방문 시 유용한 팁도 함께 안내해 드릴게요. 2025년 경복궁 생과방 하반기 행사2025. 9. 3.(수) ~ 11. 3.(월) ' 매주 수~월요일 운영'​행사 시간* 회당 70분 내외 소요 ○ 1회차 10:00 ~ 11:10 ○ 2회차 11:40 ~ 12:50 ○ 3회차 13:50 ~ 15:00 ○ 4회차 15:30 ~ 16:40​행사 장소경복궁 생과방​참여 인원회차당 36명 / 1일 144명[출처] 국가유산청 (국가무형유산 전승취양종목 활성화 지원사업과 합꼐하는 궁중 다과 )1. 경복궁 생과방이란 무엇일까요? 경복궁 생과방은 옛날 조선시대 왕과 왕비가 드셨던 특별한 궁중 다과(음식과 차)를 맛보고 즐길 수 있는 체험 공간이..

혼자 놀기 2025.08.17

어지러움 심해서 병원 갔더니 전정기관 이상이라고.

어지러움은 우리 몸이 균형을 잃어서 주위가 빙글빙글 도는 것처럼 느끼는 증상이에요. 이때 머리가 어질어질하거나 넘어질 것 같은 느낌이 들고, 걸을 때도 휘청거리게 돼요. 어지러움은 흔한 증상이라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지만, 특히 우리 몸에서 균형을 잡아주는 ‘전정기관’이라는 부분이 이상이 생기면 더욱 심해질 수 있어요.우리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전정기관이 뭐예요?귀 안에 ‘전정기관’이라는 아주 작은 기관이 있어요. 이 기관은 마치 우리 몸의 ‘평형 센서’ 같은 역할을 해요. 우리가 걷거나 움직일 때 전정기관은 머리 방향과 몸의 움직임을 느끼고 그 정보를 뇌에 보내 균형을 잡도록 도와준답니다.전정기관은 여러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그중에서 ‘세반고리관’이라는 세 개의 작은 관과 ‘난형낭’, ‘구형낭’이라..

일상 2025.08.16

8월 31일까지 해야 하는 비대면 주민등록 사실조사

8월 31일까지 해야 하는 비대면 주민등록 사실조사에 대해 쉽게 설명해 줄게요. 이 조사는 우리 모두가 사는 곳이 맞는지 확인하는 아주 중요한 일이에요. 쉽게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차근차근 알려줄게요.비대면 주민등록 사실조사란 무엇일까요?우리나라에는 ‘주민등록’이라는 제도가 있어요. 주민등록은 어디에 누구누구가 살고 있는지 정확히 기록하는 거예요. 이 기록이 제대로 되어 있어야 나라가 도와줘야 할 사람을 잘 알 수 있고, 학교, 병원 같은 곳에서 필요한 도움도 받을 수 있어요.하지만 가끔씩 ‘주민등록에 적힌 주소’와 ‘실제로 살고 있는 곳’이 다를 때가 있어요. 예를 들어, 주민등록에는 아빠 집으로 되어 있는데 엄마 집에서 살고 있거나, 아니면 다른 동네로 이사 갔는데 옮기지 않은 경우도 있답니다.그래서..

일상 2025.08.15